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중증외상환자 발생 및 치료 현황을 분석, 향후 중증외상환자를 더 살리기 위한 계획을 29일 발표했다.
질병관리본부는 2011년 서울·강원지역 내 발생한 중증외상환자를 분석한 결과, 중증외상으로 입원한 환자 2,889명 중 중환자치료 또는 응급수술을 받은 환자 비율이 60.3%(1,743명)으로 중증외상환자는 전문적인 치료 비중이 높음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증외상환자가 응급실 도착 후 타 기관으로의 전원된 환자의 전원 사유를 보면, 상급병원으로 전원(28.2%), 중환자실 부족(14.5%), 응급수술 및 처치를 할 수 없는 경우(5.5%) 등 중증외상환자의 전문치료 인프라가 없어 전원 사례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실 진료 후 수술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4.3일로, 제 때에 치료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빨리 개선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중증외상환자를 위한 인프라가 취약하고 예방가능한 사망률이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지만, 적정 치료가 지연되는 구체적인 통계가 분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작년부터 중증외상환자의 전문치료시설인 권역외상센터를 선정, 시도별 1개 총 17개 센터 육성, 시설·장비비 80억원 및 운영비 최대 27.6억원을 지원,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수술 및 중환자 치료시설 및 전문인력 확보에 집중 투자했다.
보건복지부는 권역외상센터가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권역외상센터 운영지침」과 평가지표를 마련, 발표했다.
권역외상센터의 운영지침에는 중증외상환자의 타기관 전원 금지, 중증외상환자 도착 즉시 외상팀의 활성화, 외상전담 전문의의 상주 당직, 지역외상위원회 운영, 주기적 사망사례 분석 등 권역외상센터가 권역 내 예방가능한 사망률 개선을 위한 주요 의무들이 담겨져 있다.
보건복지부는 권역외상센터의 주요 평가지표로 ‘해당 시도의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사망률의 개선정도’를 활용할 방침이나 지금까지 한 번도 시도별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한 사망률이 분석된 것이 없다.
특히 우리나라 전체의 예방가능한 사망률(’10년 35.2%) 역시 상대적으로 외상진료 인프라가 높은 응급의료기관 20개소*(사망환자 446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표성이 낮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올해부터 시도별 예방가능한 사망률을 포함하여 대표성 있는 예방가능사망률을 도출해 권역외상센터의 성과평가지표로 활용할 예정이다.
권역외상센터로 선정된 지역의 예방가능 사망률을 우선 산출하되, 대상 분석기관을 약 130개소로 확대하여 자료의 신뢰성·대표성을 크게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분석 기관수를 늘릴 경우 예방가능한 사망률은 현재 35.2%보다 훨씬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렇게 분석된 시도별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사망률은 권역외상센터의 성과평가에 반영하여, 권역외상센터가 권역 내에서 주도적으로 진료체계를 개선토록 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 사망률은 질병관리본부가 ’13년부터 매년 수행·발표할 예정으로, 의료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국가 수준에서 권역별 중증외상 환자의 발생과 위험요인, 중증도,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등을 모니터링 가능한 대표 조사로 육성할 것”이라 말했다.